1. 정감록 소개정감록은 조선 후기 민중 사이에서 널리 퍼진 예언서로, 저자나 집필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임진왜란(1592)과 병자호란(1636) 이후의 혼란기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민중들은 전쟁과 지배층의 부패, 경직된 신분제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었으며, 정감록은 왕조의 몰락과 새로운 질서의 도래를 예언하며 민중들에게 희망을 주는 역할을 하였다.정감록은 단순한 예언서가 아니라, 시대적 불만과 변혁의 열망을 반영한 사상적 문헌으로도 볼 수 있다. 유교, 도교, 불교 사상이 혼합된 형태를 띠며, '홍익인간'의 개념이 강조된다. 홍익인간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 민중들에게 이상적인 사회를 상징하는 개념이 되었다.2. 정씨 왕조의 의미와 금서 지정정감록에서 가장..